소시오패스,나르시스즘 등 검사하려면 어디로 가야하나요? 일반 정신과에선 안해주더라고요 어디로 가야하나요공감능력같은거 검사하고싶은데 편집증도 있는거같아요
일반 정신과에선 안해주더라고요 어디로 가야하나요공감능력같은거 검사하고싶은데 편집증도 있는거같아요
소시오패스, 나르시시즘, 편집증, 공감 능력 등과 관련된 심리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하려면 정신건강의학과 또는 **심리상담센터(특히 임상심리 전문가가 있는 곳)**를 방문하셔야 합니다.
일반 정신과에서 안 해준다고 느끼셨다면, 아마도 몇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진단 명칭의 특수성: '소시오패스'는 일반적인 임상 진단명이 아니며, 정식 진단명은 '반사회성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입니다. '나르시시즘'도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가 정식 진단명입니다. 편집증은 '편집성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또는 '망상장애(Delusional Disorder)' 등의 스펙트럼에 속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에서는 의학적으로 명확한 진단명을 사용합니다.
성격장애 진단의 복잡성: 성격장애는 단기간에 진단하기 어렵고, 한두 번의 상담만으로 명확히 판단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행동 패턴과 사고방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기 때문에, 충분한 상담과 심리 검사가 필요합니다.
요구되는 검사: '공감 능력'처럼 특정 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심리 검사(정신과적 심리검사)**가 필요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상담만으로는 어렵습니다.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또는 종합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가장 추천하는 곳입니다. 대학병원급에서는 다양한 심리 검사 도구를 갖추고 있으며, 임상심리 전문가가 상주하여 체계적인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성격장애나 복합적인 증상을 진단하는 데 필요한 심층적인 평가가 가능합니다.
**"성격장애 진단 및 심리 평가를 받고 싶다", "공감 능력 등 심층 심리 검사를 받고 싶다"**고 구체적으로 말씀하시면 됩니다.
일반 정신과 의원 중에서도 '심리 검사' 또는 '성격 검사'를 전문적으로 진행한다고 홍보하는 곳이 있습니다. 이런 곳은 임상심리사 또는 심리전문가가 상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문 전에 전화하여 "성격 관련 심층 심리 검사가 가능한지", "임상심리사 선생님이 계신지" 등을 문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심리상담센터 (임상심리전문가/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자격을 가진 곳):
일반적인 상담센터 중에서도 '임상심리전문가' 또는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자격을 가진 전문가가 운영하거나 상주하는 곳에서는 심리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곳은 진단보다는 상담과 개선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지만,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검사는 가능합니다.
초기 상담: 정신과 의사 또는 심리 전문가와 초기 상담을 통해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 증상, 생활사 등을 이야기합니다.
심리 검사: 상담 후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필요한 심리 검사를 진행합니다.
MMPI (다면적 인성검사): 가장 보편적인 성격 검사로, 다양한 정신 병리적 특성과 성격 경향성을 평가합니다.
TCI (기질 및 성격 검사): 개인의 타고난 기질과 후천적으로 형성된 성격을 평가합니다.
공감 능력 검사: 특정 검사 도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 EQ 검사 등).
투사 검사 (HTP, TAT, 로르샤흐 등): 무의식적인 심리 상태를 탐색하는 검사입니다.
지능 검사 (WAIS-IV 등):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도 합니다.
검사 결과 해석 및 진단: 검사 결과와 상담 내용을 종합하여 전문가가 진단명을 내리고, 현재 상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해줍니다.
치료 및 상담 계획: 진단 결과에 따라 약물치료, 심리치료(개인 상담, 집단 상담), 행동 치료 등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핵심은 "단순한 상담"이 아닌 "성격 평가 및 심리 검사"를 받고 싶다고 명확하게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지금 느끼시는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해결하시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용기를 내어 병원을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