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부동산 취득세 신고 아들은 해외 영주권자이고 거의 10년을 해당 국가에 살면서 그 나라
아들은 해외 영주권자이고 거의 10년을 해당 국가에 살면서 그 나라 주택을 구입했습니다그런데 이럴 경우 한국에 취득 신고 하지 않으면 10퍼센트 과태료 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거의 2년 정도 지났는데거주 목적으로 영주권자가 그 나라 주택을 구입했는데 취득 신고 를 왜 한국에 해야하는지 이 법이 한국의 거주하면서 왜국 부동산 취득한 사람헌테만 해당하는지 아니면 아들처럼 그나라 영주권자 이고 그나라에 장기간 체류하면서 실거주 목적인 사람도 한국에 취득 신고하는건가요
이 질문은 진짜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부분이에요
해외에서 오래 살아온 가족이 현지 주택을 구입했을 때
그게 한국에 신고해야 할 일인지, 아니면 전혀 상관없는 건지
해외 영주권자라도 ‘한국의 세법상 거주자’라면
해외 부동산 취득 사실을 한국에 반드시 신고해야 하고,
이건 부동산 취득세가 아니라, 국외 부동산 취득 신고의무에 관한 내용이에요
즉, "해외에 있는 부동산을 어떤 목적으로 취득했는지
핵심은 그 사람이 ‘한국의 세법상 거주자’인지 아닌지예요
또는 국내 가족과 밀접한 경제적 관계가 있다면
해외에 있는 부동산을 2억 원 이상 주거용으로 취득했다면
이걸 안 하면 취득가액의 10%까지 과태료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34조 기준이에요)
한국의 세법상 비거주자로 분류될 가능성이 커요
아드님이 지금 한국의 세법상 거주자냐, 비거주자냐 이걸 확인해야 하고
신고하지 않아도 되고, 과태료 대상도 아닙니다
세법상 거주자 여부를 꼭 확인해보시는 걸 추천드릴게요
해외 부동산이라면 일정 금액 이상은 국세청에 신고해야 한다는 원칙
포인트 선물 버튼을 눌러서 마음 전해주시면 감사하고 힘이 날 것 같습니다
부업,부동산 정보,재테크 등 유용한 경제 정보들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6zvqglo/223935542123

빗썸 추천코드로 7만원 받기, 진짜 출금까지 해봤어요
처음엔 저도 반신반의했어요. “코인도 모르는데… 괜히 잘못 건드렸다가 돈 날리는 거 아냐?” 근데요, 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