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상완신경총 부근 양성종양 안녕하세요. 문의 드립니다. —— 내 용 ———1. 집근처
안녕하세요. 문의 드립니다. —— 내 용 ———1. 집근처 종합병원 흉부외과에서 오른쪽 상완신경총주변 양성종양(7~8cm)이 신경을 압박하여 응급실로 실려간후. 22년도에 옆구리 절개를 통해 제거했습니다. 수술후 일부 신경손상으로 팔뚝 근육 소실 및 손가락 일부 감각이상이 발생해 있고. 영구장애일듯 합니다. (팔과 손을 쓰느네는 큰 지장은 없습니다. 힘이 덜 들어 가는 팔뚝이 조금 문제입니다만..) 수술부위를 누르면 해당부위와 손가락이 찌릿찌릿하고 당김이 있습니다. 2. 개인병원에서 목디스크 치료 (24/12월에 목디스크로 카다테?를 이용한 치료를 받았습니다. 목디스크 4개 정도에 이상이 있다고 하며.시술은 매우 잘 돼었다고, 이후 종합병원 교수님이 말씀 주시내요. 초 수3. 25/4월 직장근처 종합병원에서 찌릿거림과 손바닦 당김등의 원인이 목디스크인지 아니면 상완신경총 손상인지등을 알기위해 진료를 받았으면 MRA 촬영시 이전 상완신경총 부위에 2cm정도의 추가 종양 의심으로. 최초 수술한 병원에서 추척관찰 및 치료를 권고 받았습니다. 질문은. 금번 병원 진료가 이전 수술해주신 흉부외과로 잡혀있는데 신경외과로 다시 진료나 협진등을 부탁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저번 흉부외과 교수님은 수술해주셔서 감사 하지만. 수술후 장애가 생긴상태라 조금 부담 스럽기도 해서요. 긴 물음에 상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대한의사협회·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김철수 입니다.
현재 증상의 핵심은 신경계 이상 (찌릿함, 당김, 감각 이상 등)이며 기존 신경손상과 연관된 후유증 및 재발 여부 부분은 신경외과 전문 영역입니다. 흉부외과는 주로 종양 제거, 폐/흉부 수술, 구조적 접근에 특화되어 있으므로 후속 신경학적 평가(감각 회복 여부, 손상 정도 등)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경외과 전문의는 MRA, 신경전도검사(EMG), 근전도 검사 등을 통해 찌릿함의 원인(목 디스크 vs 상완신경총 재손상/재발)을 더 정확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치료 판단 (예: 수술이 아닌 보존치료, 신경 재활, 약물 등)에도 신경외과의 의견이 꼭 필요합니다. 흉부외과 진료는 그대로 받되 진료 중 신경외과 협진 문의를 하시던가 아니면 신경외과 단독 진료 예약도 병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