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아파트 단지가 다른 경우 커뮤니티 시설이나 공용비는 ? e편한세상금빛그랑메종 1,2,3,4..단지 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요. 커뮤니티 시설이나, 공용비용 같은
e편한세상금빛그랑메종 1,2,3,4..단지 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요. 커뮤니티 시설이나, 공용비용 같은 경우에는 1+2+3+4..단지 모든 세대를 합친 다음 나누나요?아니면 단지 단위로 나오게 되나요??1단지는 1000세대가 넘고 나머지는 400~500수준이여서요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책자금컨설팅 바름의 김수용 대표입니다.
e편한세상 금빛 그랑메종처럼 여러 단지로 나뉜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커뮤니티 시설과 공용 비용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부분의 경우 단지 단위로 운영되고 비용이 부과됩니다.
커뮤니티 시설 및 공용 비용 운영 방식
단지 단위 운영 및 비용 부과 (일반적):
대부분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여러 단지로 나뉘어 있더라도, 각 단지별로 독립적인 관리사무소와 입주자대표회의를 구성합니다.
따라서 커뮤니티 시설(헬스장, 독서실, 골프연습장 등) 역시 각 단지 내에 위치한 시설은 해당 단지 주민들만 이용하고, 해당 단지에서 발생한 운영 비용을 해당 단지 세대수가 부담합니다.
공용관리비도 마찬가지입니다. 각 단지의 개별적인 관리(청소, 경비, 조경, 승강기 유지보수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해당 단지의 세대수와 면적에 따라 부과됩니다.
예외: 통합 운영 또는 공유 시설:
매우 드물게, 설계 단계부터 특정 커뮤니티 시설을 여러 단지가 함께 이용하도록 계획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시설의 운영 비용은 관련된 모든 단지가 합산하여 분담하는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명확한 협약과 관리 규약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단지 전체를 아우르는 '중앙 공원'이나 특정 '통합 상가' 등의 공용 시설이라면 전체 단지의 협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휘트니스 센터'나 '작은 도서관' 등 대부분의 주요 커뮤니티 시설은 각 단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단지별로 나눌까요?
관리의 효율성: 세대수가 너무 많으면 하나의 관리 시스템으로 운영하기 어렵습니다. 단지별로 나누면 관리가 훨씬 효율적입니다.
비용의 합리성: 각 단지 주민들은 자신들이 직접 사용하는 시설과 서비스에 대한 비용만 부담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시설의 규모나 유지보수 비용이 단지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독립성 및 의사결정: 각 단지 주민들의 의견을 더 잘 수렴하고, 해당 단지의 특성에 맞는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함입니다.
결론적으로, e편한세상 금빛 그랑메종처럼 1단지, 2단지, 3단지, 4단지 등으로 나뉘어 있다면, 각 단지는 독립적으로 커뮤니티 시설을 운영하고 공용 관리비를 부과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1단지의 1000세대 넘는 주민들은 1단지 시설과 공용 비용만 부담하고, 400~500세대의 다른 단지들은 해당 단지의 시설과 비용을 부담하게 됩니다.
정확한 내용은 입주자 모집 공고문이나 해당 단지의 관리 규약을 확인해 보시면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