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계좌, isa 있어요 1. 연금 저축 계좌에 600만원 납입 시 연말정산에서 99만원 세액공제를
1. 연금 저축 계좌에 600만원 납입 시 연말정산에서 99만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2월말까지 일하다 퇴사하여 지금은 실업급여를 받고 있는 상태입니다. 결과적으로 무직이고, 연 소득이 4000만원이 넘지 않는데, 이런 경우에는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 2. 연금저축 계좌와 isa를 개설하여 납입 후, 국내 상장 미국etf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KODEX S&P500, KODEX나스닥100, KODEX200 세가지 종목에 투자하려고 하는데, 각각의 종목들을 연금저축계좌와 isa계좌에 분배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1️⃣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 무직자도 가능할까?
세액공제는 “납부한 소득세가 있어야” 적용됩니다.
질문자님처럼 **2월 말 퇴사 + 현재 무직(실업급여 수령 중)**이라면
→ 올해 소득세 납부 자체가 적거나 없을 수 있으므로 세액공제 효과도 미미하거나 아예 없음.
올해 근로소득이 적어 납부한 소득세가 거의 없다면 최대 99만 원 공제는 못 받습니다.
내년 이후 다시 소득이 생기면 그때 납입을 집중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2️⃣ 연금저축/ISA 계좌로 ETF 투자할 때 분배 전략
“미국 증시수익이 좀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한다면
KODEX200 비중은 줄이고 S&P500 + 나스닥100 위주로 구성하는 게 좋습니다.”
※ 연금저축은 안정적 자산 배분을, ISA는 단기/수익성 고려해서 배분하면 좋습니다.

IRP vs 연금저축 vs ISA: 2025년 절세와 노후 준비를 위한 계좌 비교 총정리
노후 준비와 절세를 동시에 고려할 때,IRP(개인형 퇴직연금), 연금저축,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각기 다른 장점과 조건을 가진 금융 상품입니다.2025년 현재, 이 세 가지 계좌의 특징과 활용법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가입 대상: 근로자, 자영업자, 공무원 등납입 한도: 연간 1,800만 원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최대 900만 원세액공제율: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6.5%총급여 5,500만 원 초과: 13.2%운용 상품: 예·적금, 펀드, ETF 등연금 수령 조건: 만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