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대 한반도 (역사) 1. 1910년 8월29일에 공개된 병합조약에서 왜 일본정부가 굳이 다시 한국이라는
1. 1910년 8월29일에 공개된 병합조약에서 왜 일본정부가 굳이 다시 한국이라는 표현을 뒤로하고 조선이라는 이름을 부활시켰나요2.초대통독은 천황에게 직속되어 일본의회와 내각의 통제를 거의 받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뭐죠3.즉결 심판권이 뭔가요4.총독부가 헌병경찰을 동원한 이유가 그냥 억압하고 위협하기 위해서 인가요5.병합조약에소 일본정부는 한국을 온전히 다스리며 누구나 생명과 자유를 보장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억압, 위협, 탄압으로 생명과 자유가 제대로 보장 되지 않는거 같은데 이때 들고 일어난 사람이 있나요?
→ 대한제국의 독립 상징 ‘대한’을 없애고, 옛 이름 ‘조선’으로 불러 식민지로 편입·정체성 약화.
→ 현역 군인(육·해군 대장)으로 천황 직속, 정치 변화와 무관하게 강압 통치 가능하게 하려 함.
→ 법원 없이 헌병·경찰이 곧바로 벌금·구류 등 처벌하는 권한.
→ 표면상 치안 유지, 실제로는 민족운동 억압·주민 감시·위협 목적.
→ 의병 활동 지속, 1919년 3·1운동 등 전국적 항일운동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