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박사학위를 취득하면 그 이후 계획? 안녕하세요 학위취득을 곧 두고있는데시간강사경력과 논문점수를 쌓으라고하는데이거 2개만 하면되나요?지도교수님이 하란대로 하지말고

안녕하세요 학위취득을 곧 두고있는데시간강사경력과 논문점수를 쌓으라고하는데이거 2개만 하면되나요?지도교수님이 하란대로 하지말고 본인이 선택하라고주변에서 이야기들하는데 .. 졸업하신 분 뭐 준비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나면 보통 여러 가지 경로를 선택하게 되는데, 크게는 대학교에 남아서 교수가 되거나 기업체 혹은 정부 출연 연구소로 진출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어요.
대학교
대학교에 남는 길을 생각하고 있다면 말씀하신 대로 시간강사 경력과 논문 실적이 가장 중요합니다. 논문은 많을수록 좋고, 특히 SCI(E)급 저널이나 학계에서 인정받는 유명 저널에 게재하는 것이 유리해요. 시간강사 경력도 단순히 강의 경험을 쌓는 것뿐만 아니라, 나중에 교원 임용 시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됩니다.
하지만 이 두 가지만 준비하는 건 아니에요. 학과나 전공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프로젝트나 과제 참여 경력도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본인이 연구에 기여한 부분이나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성과를 잘 정리해 두면 좋습니다. 학회 활동, 특허 출원 등도 이력에 도움이 되고요.
기업체 또는 연구소
기업이나 연구소 진출을 생각한다면 조금 다른 준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물론 논문 실적도 중요하지만, 본인의 연구 분야가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기업체 연구직의 경우 산업 인턴 경력이나 협업 프로젝트 경험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부 출연 연구소 역시 본인의 연구가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어필하는 것이 중요하고요. 박사 학위 과정 중에 수행한 연구가 실제 산업에 적용된 사례가 있다면 더욱 좋겠죠.
다양한 가능성
지도교수님이 조언하신 것처럼, 다른 사람의 조언에만 따르기보다는 본인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스스로 답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에는 연구자 외에도 다양한 길이 열려 있어요. 전문성을 살려 컨설턴트가 되거나, 창업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너무 조급해하지 마시고, 일단은 논문과 연구에 집중하면서 다양한 길에 대해 천천히 고민해 보세요. 졸업한 선배들이나 현직에 있는 분들에게 직접 조언을 구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진로에 관심이 있는지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