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무기력증 극복방법 이제 고등학교 올라갔는데요. 부족한건 딱히 없는데 무기력하고 아무것도 하기싫고 다
이제 고등학교 올라갔는데요. 부족한건 딱히 없는데 무기력하고 아무것도 하기싫고 다 귀찮아요. 그냥 제가 필요한 곳이 없는거 같아요. 그렇다고 죽고싶다는 생각은 별로 안들어요. 연애에는 관심도 없고 꿈은 있는데 부모님이 허락을 안해주셔서 그냥 마음속에만 담고 있어요. 공부도 잘하는 편이라 진짜 부족한 게 딱히 없는거 같은데 요즘 삶에 회의감이 들어요. 그냥 움직이기도 싫고 제가 하고싶은거 말고는 아무것도 하기싫어요. 해야해도 끝까지 미뤄요. 너무 무기력한거같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출처: 무기력증 극복 방법
그 마음, 정말 이해됩니다. 겉으로는 부족한 게 없어 보이는데도 자꾸 무기력해지고, 아무것도 하기 싫고, 심지어 내가 왜 살아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는 감정. 많은 청소년들이 특히 고등학교 입학 전후로 비슷한 감정을 겪습니다. 그래서 절대 혼자만 그런 건 아니에요. 지금 당신이 느끼는 감정은 '질풍노도'라는 말처럼, 삶의 방향성과 자아를 찾아가는 시기에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변화 중 하나입니다.
무기력감의 원인을 먼저 살펴보세요
무기력은 단순히 게으르거나 의지가 약해서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정신적인 에너지가 고갈되었거나, 내면에 말 못할 스트레스가 쌓여 있을 때 나타나는 하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특히 부모님이 내 꿈을 이해해주지 않거나, 내 속마음을 꺼내놓기 어려운 환경이라면 이런 감정은 더 쉽게 생겨납니다.
또한, 목표는 있지만 그 목표가 너무 멀게 느껴지거나, 당장 내 힘으로 할 수 없는 일처럼 보일 때도 사람은 무기력해집니다. 아무것도 하기 싫고, 해야 할 일을 자꾸 미루게 되는 것도 그 때문이에요. ‘내가 지금 하는 이 공부가 무슨 의미가 있지?’라는 회의감이 들기 시작하면, 그 다음에는 어떤 행동도 무의미하게 느껴지게 되죠.
작고 사소한 ‘의미’를 찾는 연습이 중요해요
지금 이 시기에 꼭 필요한 건 ‘당장 바꿀 수 있는 작은 것들에 집중하는 습관’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 하루를 마치기 전에 '내가 좋아하는 노래 한 곡 듣기', '일기 한 줄 쓰기', '스스로에게 질문 하나 던지기'처럼 사소해 보이지만 감정을 정리할 수 있는 활동들이 중요합니다.
무기력감은 '감정'과 '에너지'의 순환이 막혀서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억지로 ‘열심히 해야지’라고 다짐하는 것보다는, 내 감정을 좀 더 세심하게 들여다보고, 적당한 곳에 에너지를 다시 흘려보내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하고 싶은 일이 있어도 허락을 못 받는 상황이라면
이건 정말 속상하고 힘든 부분이에요. 그런데 부모님이 당장 허락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 꿈이 끝나는 건 아닙니다. 지금은 그 꿈에 대해 공부하고, 스스로 준비할 수 있는 시기라고 생각해보세요. 언젠가는 기회가 올 수도 있고, 반대로 준비한 만큼 더 강하게 꿈을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부모님도 결국은 자녀가 진심이라는 걸 알게 되면, 마음이 바뀔 가능성도 크고요.
감정이 말해주는 신호를 무시하지 마세요
무기력은 단지 ‘하기 싫은 기분’이 아니라, 나에게 무언가 중요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내면의 목소리일 수 있습니다. 만약 이 감정이 계속되고, 일상생활이나 수면, 식욕에도 영향을 줄 정도라면, 학교 상담실이나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정말 좋은 방법이에요. 말로 꺼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훨씬 가벼워질 수 있거든요.
마지막으로 꼭 드리고 싶은 말은, 지금 이 감정이 절대로 이상하거나 틀린 게 아니라는 점입니다. 오히려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들여다보고 있다는 건 아주 건강한 태도이고, 그렇게 고민하는 당신은 이미 성숙하게 성장 중이라는 뜻입니다. 지금 잠시 멈춰 있는 것 같아도 괜찮습니다. 결국 방향만 잃지 않으면, 속도는 중요하지 않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