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지방직 교육행정직 공무원 관련 합니다. 01. 혹시 서울시교육청(지방직) 9급 교육행정직으로 들어가도 퇴직하기 전에 1~3급의 고위직
01. 혹시 서울시교육청(지방직) 9급 교육행정직으로 들어가도 퇴직하기 전에 1~3급의 고위직 공무원까지 승진이 가능할까요? 제가 현재 30대입니다. 지방직 교육행정직은 9급 외에는 선발하지 않기에...02. 굳이 지방직 시험을 치르려는 이유는 서울에서 계속 거주하면서 교육행정직 특유의 워라밸을어느 정도 누리고 싶어서 입니다. 다만, 저는 국가거점국립대학의 발전과 지역간 교육 격차 해소에 지대한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도권에서 유일한 국거국 대학은 서울대학교인데, 서울대는 국립대학이 아닌국립대학 법인입니다. 교육청 공무원을 하다가 서울대학교 행정직으로 취직을 할 경우, 공무원으로서근무한 경력을 인정받아 높은 직책에 발령받을 수가 있을까요?03. 저는 현재 학사학위조차도 갖지 못한 상태입니다. 혹시라도 공무원으로서의 삶을 살다가 "학부"를1학년부터 다시 다닐 수가 있을까요? 그리고 그 이후에도 박사학위까지 공무원을 하면서 마칠 수가있을까요? 유학 휴직은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국내 대학도 학부나 대학원을 가기 위해 휴직이 되는지모르겠습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서 학부/대학원을 다니고자 합니다. 수능을 다시 볼 각오도되어있습니다.(주변에서는 방송통신대학교를 많이 추천하지만, 저는 서울대학교를 학사편입학이 아닌,신입으로 입학하여 정식으로 졸업하기를 원합니다...)>>학부 및 대학원 휴직을 받을 수 있다면 고위직 공무원까지 하겠지만, 불가능하다면 학비를 마련한 후공무원에서 사직하여 학위를 받은 후 다시 5급 행시를 보거나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취직하고자 합니다.감사합니다. 성실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1. 9급은 보통 6급. 최대 5급까지 찍고 나옵니다
질문자님이 말씀하시는 고공단, 1-3급은 5급 행시를 치셔야합니다
2. 근무 경력을 인정 받아 높은 직책을 발령받는다(X)
근무경력을 인정받아 호봉이 쌓인다(O)
경채나 특채로 따로 뽑는게 아닌 이상 근무 경력은 호봉 쌓는 용도입니다
3. 공직 생활을 하다가 그 공직에 관련된 특수한 케이스가 아닌 이상
대학생이 대학생활을 하다가 3학년때 공시나 행시 합격하고 학업으로 인한 임용유예한 다음 4학년 마치고 졸업하고 공무원되는게 일반적이지만,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갑자기 다시 수능쳐서 공무원의 삶과 대학의 삶을 병행하는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질문자님은 아마 학벌과 직업 둘 다 놓치고 싶어하지 않는거 같은데
그럴거면 요즘 대학가는건 2010년 초>중>후 -> 2020년 초>중 그리고 후반으로 갈수록 더욱 훨씬 쉬워지고 있는 추세라 수능 공부 다시해서 서울대 목표로 2-3년 빡세게 공부하시고 대학 가서 5급 교행직 행시 준비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어차피 5급은 10년 공부해서 합격해도 성공한 시험이라 기간에 큰 의미가 부여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