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이름을 잊어버렸어요 두 사람 이름을 알고 싶어요.1. 독도? 울릉도? 를 일본이 넘나들며
역사적 인물이름을 잊어버렸어요 두 사람 이름을 알고 싶어요.1. 독도? 울릉도? 를 일본이 넘나들며
두 사람 이름을 알고 싶어요.1. 독도? 울릉도? 를 일본이 넘나들며 빼앗으려해서 우리백성중 어떤 사람이 자기가 나라의 임무를 시행하는것처럼 가서 물리친 사람이,나중에 오히려 처벌받은 억울한 분이 계셨었는데,그 이름을 잊었어요.2. 조선인이 공자만 추앙하고 있을때 , 세상의 이치를 어찌 공자만 알고 우리는 모르느냐? 하며 꼬집은 사람이 오히려 억울하게 배척된 일이 있었는데 그 분 이름도 기억이 안나요.(정약용선생 말고 다른 분. )나이가 드니 많은 걸 잊어요.아시는 분들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17세기 후반의 남인 학자 윤휴는 4서 3경을 비롯한 유교 경전에 대하여 주자와 다른 주해를 내려서 성리학자들로부터 사문 난적, 즉 유학의 반역자라는 규탄을 받았다. 그는 “천하의 많은 이치를 어찌하여 주자만 알고 나는 모른단 말인가. 주자는 다시 태어난다 하여도 내 학설을 인정하지 않겠지만, 공자나 맹자는 다시 태어나면 내 학설이 승리하게 될 것이다.”라고 하면서, 자기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https://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42_0030_0020_0030

우리역사넷
(3) 유교 철학의 동향 성리학의 경향 이황에 의해서 대성된 주리 철학(主理哲學)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집권파 양반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어 유교 철학의 주류를 이루었다. 특히, 일본과 여진족의 침략을 겪고 천주교를 비롯한 서양 문화의 자극을 받는 과정에서, 주리설은 점차 이일원론(理一元論)으로 발전되면서 위정 척사 운동의 철학적 기반을 이루었다. 주리설의 대표적 학자는 기정진, 이진상 등이다. 이이 등에 의해 그 체계가 잡힌 주기설(主氣說)은 실학 계열(특히 북학파)의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그 밖에 한원진, 임성주 등을 거...